• 여름철 농식품 구매 '신선도' 중시, '온라인' 매장 선호
  • 여름철 채소 과일 등 농식품 구매, ‘가격’보다 ‘신선도’ 중시


  •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잦은 장마로 농식품 소비 습관이 달라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농식품을 구매할 때 온라인 매장을 이용하고, 건강식을 직접 조리하기보다 배달·포장이나 간편 조리식품으로 대체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촌진흥청은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소비자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으로 조사한 ‘여름철 농식품 소비 행태 변화’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37.9%는 폭염·장마 영향으로 농식품 구매 장소를 대형마트나 슈퍼마켓에서 온라인으로 옮겼다고 답했다. 또한, 여름철 농식품 구매 시 ‘가격’보다 ‘신선도’를 더 고려한다고 밝혔다.

    여름에는 신선도가 식품 안전과 직결된다는 인식 때문인지 채소(67.3%)·과일(57.4%) 신선도를 특히 중시했다. 다음으로는 육류(46.8%), 곡물류(30.5%) 순으로 신선도를 따졌다.

    여름철 신선 농식품 소비가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수분 함량이 높은 오이, 토마토 소비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는 여름 음식에 빠지지 않는 식재료이고, 토마토는 고당도 품종 확대로 여름철 꾸준히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육류 중에서는 오리고기와 소고기 소비가 각각 24.8%포인트, 13.9%포인트 감소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조사에서 여름철 보양식 소비 행태도 알아봤다. 그 결과, 복날 대표 음식으로 인식되던 닭 요리 비중이 최근 1~2년 사이 80.0%에서 74.3%로 감소했다. 대신 장어(3.3%포인트), 오리(1.7%포인트), 염소(1.3%포인트) 소비는 증가해 건강식 소비가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건강식도 가정 내 조리보다는 외식(12.8%포인트)이나 간편 조리식품(6.7%포인트), 포장(1.3%포인트)을 선호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연령별로 30대 이하에서는 장어와 오리백숙, 50대 이상에서는 염소탕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특히 ‘개 식용 금지법’ 시행에 따라 보신탕 수요가 닭(34.8%)과 염소요리(26.6%)로 이동하는 흐름을 보였다.

    농촌진흥청 농업경영혁신과 위태석 과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여름철 농식품 소비가 신선도, 편의성, 다양화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온라인 소비 확대와 간편식 수요 증가에 대응, 맞춤형 상품화 및 판촉(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라고 말했다.

     





  • 글쓴날 : [25-08-14 13:02]
    • 최수현 기자[2we@2wenews.co.kr]
    • 다른기사보기 최수현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