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024년 결핵환자의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추가로 결핵환자 250명(접촉자 10만명당 235.9명)을 조기에 발견하였고 이는 일반인 결핵 발생률(인구 10만명당 35.2명)의 약 7배 높은 수준이라고 발표하였다.
결핵 역학조사를 통해 결핵환자와 장시간 같은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를 파악한 후 신속하게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하여 추가 결핵환자가 발견되면 즉시 격리 및 치료를 통해 전파를 차단한다. 더불어 잠복결핵감염자에게는 결핵 발병을 막기 위해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권고하고 추적관리를 통해 결핵 발병 여부를 확인한다.
* 잠복결핵감염이란 결핵균에 감염되어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나 임상적으로 결핵 증상이 없고 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잠복결핵감염 치료 시 90%까지 결핵 발병 예방 가능
결핵 역학조사의 목적은 신고된 결핵환자의 주변에 숨은 결핵환자를 조기발견하여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자는 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함이다.
2024년 결핵환자의 접촉자는 총 10만 5,989명으로 결핵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250명(접촉자 10만 명당 235.9명)을 조기에 발견하였다. 또한 밀접접촉자 5만 9,547명에 대해 잠복결핵감염검사*를 시행한 결과, 1만 7,537명(29.5%)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되었다.
*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와 집단시설 내 밀접접촉자 대상으로 시행
2024년 한 해 동안 역학조사를 통해 발견된 추가 결핵환자가 2023년과 비교하여 25%(50명) 증가한 것은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집단발생이 우려되는 시설의 잠복결핵감염자를 대상으로 흉부 CT등 적극적인 추가검사를 시행한 결과이다.
- 추가검사 : 전염력이 강한 결핵환자의 접촉자 검사 결과 잠복결핵감염률이 높게 확인되면, 역학조사관 판단에 따라 선제적으로 추가검사를 시행
또한 2024년 「결핵 진료지침(5판)」이 개정되어 기존에는 검사가 제한적이었던 65세 이상 고령 접촉자도 잠복결핵감염 검사 및 치료를 권고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하였다. 이에 65세 이상 잠복결핵감염 검사자는 2023년 대비 103.2%(9,060명)가 증가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도 101.1%(3,836명) 증가하여 잠복결핵감염률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는 해석된다.
역학조사 대상은 가족접촉자와 집단시설 접촉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먼저 가족접촉자 대상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년 호흡기 결핵환자 16,220명의 가족접촉자 1만 8,893명을 검사하여, 추가 결핵환자 108명(접촉자 10만 명당 571.6명)을 발견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는 4,931명이 진단되어 잠복결핵감염률은 30.1%로 확인되었다.
- 가족접촉자 : 호흡기 결핵환자의 진단일 기준으로 3개월 이전부터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거나 주기적으로 접촉한 가족 및 동거인
다음으로, 학교, 사회복지시설 및 사업장 등 집단시설 접촉자 대상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년 집단시설 3,470건의 접촉자 87,096명을 검사하여, 추가 결핵환자 142명(접촉자 10만 명당 163명)을 발견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는 12,606명으로 잠복결핵감염률은 29.2%로 확인되었다.
집단시설별 역학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건수는 사업장이 1,421건(41.0%)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시설에서 추가 결핵환자 발생률(접촉자 10만 명당 227.9명) 및 잠복결핵감염률(37.9%)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복지시설 역학조사 대부분은 노인요양시설 대상이었다. 일반 65세 이상 노인 결핵 발생률(인구 10만 명당 105.8명)보다 사회복지시설 접촉자의 결핵 발생률이 높았던 것은 면역이 저하된 고령의 접촉자들이 결핵환자와 장시간 밀접하게 접촉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시·도 및 집단시설별 역학조사 세부현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024년도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결핵제로 누리집(tbzero.kdca.go.kr) > 통계·간행물 > 간행물”에서 확인 가능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결핵환자의 접촉자는 일반인보다 결핵 발병 위험이 약 7배 높아 역학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당부하며 “전염성 결핵환자의 접촉자 중 잠복결핵감염으로 확인된 대상자는 결핵 발병 고위험군으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하면 결핵 발병을 최대 90%까지 예방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결핵 역학조사를 차질 없이 시행하여 국내 결핵 감소에 기여한 지자체 및 의료인 등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전했다.